








울진금강송 세계유산등재를 위한 범 군민결의대회와 제2회 울진금강송 수호제가 지난 10월 22일 서면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에서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추진위 임영수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울진이 가지고 있는 보배 울진금강송을 세계인들에게 자랑하고자 세계유산 등재라는 목표를 두고 뜻을 같이한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울진금강송은 울진 생태문화 관광의 모태이며 영원한 미래 산업이요 자산이다. 우리 당대에서 명품을 만들어 자손만대 물려주자.”고 강조했다.
임광원 울진군수님은 축사에서 “울진 금강소나무의 명품적 가치를 만들어 가기위한 추진위의 민간차원의 역할에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울진금강송 가치 창출역할에 민과 관이 함께 힘을 합하여 활동하는 모습에 국민과 세계인은 감동할 것이며 이 감동은 울진금강송 세계유산등재에 큰 힘으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격려했다.
울진금강송은 쇠퇴해가는 소나무를 가꾸어 울진군민들의 기상과 자연을 상징하는 풍치수로서 형질우량한 금강소나 무 목재와 송이생산지로서 수형과 수간이 아름다운 조경수 생산지로서 울진군이 2000년 6월 23일 주최한 「울진소나무림 보전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 에서약 700여명의 울진군민과 150여명의 임학 및 임업 관계자로부터 공감대를 얻어 붙여진 이름으로서 학명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강원도와 경북 울진·봉화지역의 곧은 소나무를 금강소나무 또는 강송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여러 이름으로 불리워 진다.
◆금강송(金剛松)=「금강산소나무」란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 「금강송 」이를 줄여 「강송」이라고도 불린다.
◆황장목(黃腸木)= 중국에서는 황제의 관(棺)을 가래나무로 만들었는 데 이를 황장목이라 불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래나무를 대신해 금강소나무를 왕실의 관과 궁궐을 짓는데 사용하였으며 울진금강소나무가 황장목으 로 불리게 된 것도 여기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춘양목= 일제시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소광리 일대 소나무들이 벌목돼 기차가 있는 봉화 춘양역으로 실려갔다 해서 비 롯된 별칭이다.
◆적송(赤松)= 나이테가 조밀하고 심재부가 넓고 붉은색을 띠고 있 어 붙여진 이름이다.
자료제공=울진군
【글=김종태 부장 · 장기욱 차장 / 김동열 편집위원】
제공=국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