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조금동두천 16.2℃
  • 구름많음강릉 18.7℃
  • 맑음서울 17.7℃
  • 구름조금대전 18.7℃
  • 맑음대구 21.8℃
  • 맑음울산 20.0℃
  • 구름많음광주 17.5℃
  • 맑음부산 17.1℃
  • 구름많음고창 17.6℃
  • 맑음제주 18.8℃
  • 흐림강화 11.5℃
  • 구름많음보은 19.5℃
  • 구름조금금산 19.1℃
  • 구름조금강진군 17.6℃
  • 맑음경주시 20.0℃
  • 흐림거제 17.0℃
기상청 제공

자유게시판

입춘(立春)과 봄의 시작

  • 작성자 : 박골사랑
  • 작성일 : 2018-12-22 12:49:39
  • 조회수 : 2029

서울의 입춘은 가장 추운 시기에서 약 10일 지난 시점, 봄의 시작은 약 36일 후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양력 2월 4?5일이며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된다고 한다. 그래서, 대문이나 문설주에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과 같은 글귀를 써 붙이고 한 해의 복(福)을 기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입춘 무렵은 겨울추위가 여전한 때라서 “입춘에 오줌독 깨진다.”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 같은 속담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렇다면 입춘에서 실질적인 봄까지는 얼마나 걸리는 것일까?


봄의 시작이 언제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계절구분에 따르면 3,4,5월이 봄이므로 3월 1일을 봄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24절기에 의하면 입춘(2월 4,5일)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3월 20,21일)을 봄의 시작이라고 본다. 기상학에서는 일평균 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때를 봄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서울의 경우, 1981~2010년 기간의 기후평년값에 의하면, 입춘은 일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때인 1월 25일(-2.8도)로부터 10~11일이 지난 시점이며, 평균기온이 -1.5도로 기상학적으로는 완연한 겨울이다. 일평균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때는 3월 12일로 입춘으로부터 36~37일 후가 된다.


과거의 기후평년값(1971~2000년)의 기온자료를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입춘은 일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때인 1월 31일(-3.4도)에서 4~5일이 지난 시점으로 평균기온이 -2.0도였고, 일평균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때는 3월 15일로 입춘으로 부터 39~40일 후가 된다. 따라서, 최근 30년(1981~2010년)의 입춘의 기온은 과거(1971~2000년)에 비해 0.5도 높아졌고, 기상학적인 봄의 시작까지도 3일 단축되었다.


한편, 1971~2000년 기간의 3월 1일 서울의 일평균기온은 2.1도, 춘분은 6.7도였고, 1981~2010년 기간에는 3월 1일이 2.8도, 춘분은 7.4도로 각각 0.7도 높아졌다.


1981~2010년 기간의 입춘의 지역별 평균기온은 강릉 1.0도, 청주 -1.9도, 광주 0.7도, 부산 3.1도, 제주 5.2도였고, 5도 이상 올라가는 시기까지 강릉은 33~34일, 부산은 7~8일 걸렸다. 이들 지역에서도 입춘의 일평균기온은 과거(1971~2000년 기후평년값)에 비해 0.3~1.1도 높아졌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전지훈련의 메카, 울진! 스포츠의 파워를 보여주다 살을 에는 추위와 강한 바람이 부는 날씨에도 며칠째 이어진 방망이 타구소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죽변야구장. 2025년 을사년(乙巳年) 전국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맑은 숨의 젊은 도시, 야구 스토브리그를 끝으로 5개 종목(축구,배구,야구,배드민턴,육상) 50여 개팀, 1,300여 명의 선수들이 전지훈련을 위해 방문한 곳이 있다. 스포츠 르네상스의 시작을 알린 곳, 바로 울진이다. 매서운 겨울 바람에도 온몸을 뜨거운 열기와 땀으로 가득 채운 울진의 웰빙스포츠 전지훈련 현장속으로 가보자. ◇ 다양한 종목의 참가를 통한 스포츠 경쟁력 상승 동해해안성 기후로 따뜻하고 온천·산림·바다 등 천혜의 생태자원을 갖춘 환경과 양질의 체육시설 인프라로 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울진에 올해에는 다양한 종목의 전지훈련팀이 참가했다. 축구 - 전국 유소년 축구대회 등 다수의 대회를 개최한 2면의 구장을 구비한 온정면의 축구장. 유소년 30개팀, 800여 명이 참가한 훈련은 소통·협력·매너 등 스포츠맨십을 배우는 기회의 장이 되었으며, 프로축구단과 대학축구부의 훈련은 유소년 선수들에게는 미래의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이 되었을 것이다. 야구 - 명문 야구고 연습장의 독무대가